[3분증시] 뉴욕증시, 고금리 장기화 전망에 약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는 빠르게 우리 증시는 폭넓게 가장 먼저 만나는 3분 증십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증시는 빠르게·우리 증시는 폭넓게 '3분 증시' 먼저 간밤 미국 증시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밤 미국 주식시장은 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우량주를 모아놓은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.00% 내린 39,170.24포인트로 마감했고, 대형주 위주의 S&P500지수는 0.72% 하락한 5,205.81포인트로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.95% 떨어진 16,240.45포인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지수가 급락하면서 '월가 공포지수'라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지수는 7% 넘게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약세장을 보인 배경은 뭐였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불투명해진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주춤해지고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시기가 6월에서 더 뒤로 밀릴 거란 전망이 확산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지난밤 발표된 경제지표에서 2월 미국산 제품의 신규 주문이 예상보다 더 많이 증가했고, 미국 내 일자리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는 국채 금리에 반영됐습니다.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틀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최종 4.355%로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작년 11월 말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더해 연준 인사들은 공개 발언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제유가도 급등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서부텍사스원유(WTI) 5월 인도분 선물은 1.7% 상승한 배럴당 85.15달러로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85달러를 넘었습니다.<br /><br />6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도 전날 종가 대비 1.7% 오른 배럴당 88.9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<br /><br />두 선물가격 모두 종가 기준으로 작년 10월 말 이후 5개월 만의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의 시리아 내 이란 영사관 공격으로 중동 지역 확전 위기감이 고조된 영향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국제유가 급등은 물가를 자극하는 요인으로, 연준이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취할 것이란 전망을 강화하는 재료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종목별로 살펴보면 어떤 특이점이 있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가파른 국채금리 상승은 기술주에 충격을 줬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종목들이 특히 부진했습니다.<br /><br />테슬라는 거의 4년 만에 처음으로 분기 판매가 감소했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4.90%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리비안은 1분기 출하 대수가 1만3천588대로 1년 전보다 70% 넘게 급증했다고 발표했지만, 테슬라 충격을 피하고 주가가 5.23%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루시드도 3.50% 하락해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이외에 엔비디아와 알파벳, 마이크로소프트 등 강세장을 주도해온 빅테크도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에 이어서 국내 증시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코스피 시장 상황, 어땠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제 코스피 시장은 소폭 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.19% 오른 2,753.16포인트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투자자별로는 개인이 6천여억원 팔았고 기관도 3천여억원 순매도했지만, 외국인이 무려 1조원 넘게 사들이며 가격을 떠받쳤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은 어제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6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는 전기·전자와 보험, 증권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새벽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점과 어제 금융위원회가 저평가 종목 밸류업 관련 간담회를 가진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다만 수출 실적이 부진하게 나온 자동차 업종은 약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특징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시가총액 상위권 종목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삼성전자가 크게 오르며 끝까지 지수 하단을 지지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 주가는 최종 3.66% 상승해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금요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면서 외국인을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됐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은 11거래일 연속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수했고, 해당 기간 매수 금액은 5조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시가총액은 3년 만에 5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.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도 0.43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방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인적분할 추진 가능성이 제기되며 15% 넘게 급등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실적 우려가 있는 곳들은 모두 내렸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와 기아는 3% 넘게 빠졌고, 카카오와 한화솔루션도 4%대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끝으로 오늘 코스피 전망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증시 약세 분위기를 이어받아 국내 주식시장도 가격 상단이 제한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본격적인 실적 발표를 앞두고 증시 전반에 상승 동력이 약해졌는데, 지수보다는 개별종목별로 실적에 따라 움직이는 종목 장세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3분증시, 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와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